이 연구는 WAIS-I 지능검사를 통해 소항목 검사를 중심으로 성인 ADHD 환자 지능검사결과의 특징적인 소견을 확인하여 성인 ADHD 진단에 도움을 주며 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 마음누리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하여 DSM-IV 진단기준에 의거하여 성인 ADHD로 확진된 18~56세 사이, 약물치료를 받지 않은 상태의 185명에 대해 고지능군(전체지능 110 이상~107명)과 평균지능군(전체지능 110 미만~78명)으로 구분하여 WAIS-I 지능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. 그 결과, 첫째, 평균지능군과 고지능군 사이에 인구역학적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.
평균지능군에서 30세 미만, 미혼의 비율이 높았지만, 고지능군에서는 대학이상의 학력비율, 직업이 있는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. 둘째, ’빠진 곳 찾기’와 다른 지능 소검사 항목 사이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, ’빠진 곳 찾기’가 유의미하게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. 셋째, ’토막 짜기’ 점수에서 빠진 곳 찾기 점수를 뺀 점수 차이는 두 집단에서 모두 컸지만, 고지능군에서 이런 점수차이가 유의미하게 높았다. 넷째, ’빠진 곳 찾기’ 소검사와 가장 상관관계가 있는 소검사 항목은 고지능군과 평균지능군 사이에 차이를 보였다. 고지능군과 평균지능군 모두 ’빠진 곳 찾기’ 수행이 저조했고, 평균지능군에서는 ’모양맞추기’와 ’바꿔 쓰기’가 빠진 곳 찾기와 중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이런 양상은 고지능군에서 나타나지 않아, 평균지능군에서 동작성 지능 저하가 더 일관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.
시각적 예민성, 시각적 조직화 능력, 시각적 집중력과 함께 사물의 본질-비본질적인 부분을 파악하는 능력을 측정하며, 시각적 기민성, 환경에의 기민성, 시각적 조직화, 지각적 조직화, 본질적인 부분과 비본질적인 부분의 구별(사물의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), 집중력, 자동적 및 표상적 수준에서의 조직화, 시간적 압력 하에서의 작업 능력, 불확실할 때 반응하는 능력 등을 의미하는 ’빠진 곳 찾기’점수의 유의미한 저하는 성인 ADHD의 지능검사에서의 특징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, 지능검사가 특히 전체지능 110 이상인 고지능 성인 ADHD 진단과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.
출처 - https://kmbase.medric.or.kr/Main.aspx?menu=01&d=KMBASE&m=VIEW&i=0377520170420010007